(https://fromde.tistory.com/332 에서 연결됩니다)

만하임에서 살던 집의 세입자를 구하는 일은 너무 쉬웠다. 방을 구하려는 사람은 차고 넘치고 방을 내놓는 사람은 드물기 때문에.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사람만 연락달라고 했는데, 한국에 있는 사람들에게도 메일 왔고... 뭐 그랬다. 무튼 그렇게 빠르게 새 거주자를 구할 수 있었다. 사실 나는 이 방의 주인이 아니기에 새 거주자와는 상관없이 미리 고지한 계약기간이 종료되면 걍 나가면 된다. 그런데 내가 왜 새 거주자를 구해서 집 관리회사와 연결을 해주냐하면, 내 이전의 거주자가 나에게 했듯, 나도 새 거주자에게 내가 쓰던 가구와 가전 등을 헐값에 넘기고 가기 위해서다. 이삿짐 센터를 부를 것도 아니고 가구와, 작긴 해도 가전을 다 짊어지고 이사다닐 수는 없으니까. 내가 넘기는 것들은 책상 두 개, 서랍장, 거울, 각종 수납장(한국에서도 유명한 그 이케아 철제 수납장!!), 화장실 수납장, 각종 그릇, 컵 등등 이었다. 전부 다 해서 소박하게 150유로에 넘겼다. 나는 200유로에 넘겨받지만, 내가 2년간 사용했으니 더 받기도 뭣하고 암튼 그랬다. 새 거주자가 확정되자 나는 빠르게 새 집을 구해야했다. 독일의 모든 대학도시가 그렇듯, 방 구하는 것은 거의 전쟁이다. 대학도시가 아닌 도시(ex.프랑크푸르트, 쾰른)는 너무 비싸서 문제인거고, 매물은 꽤 있다. 하지만 대학 도시는 매 학기마다 들어오는 사람이 언제나 많으니 매물 자체가 씨가 말랐다. 혼자 사는 방을 구하지 못할거라는건 당연했다. 그래서 WG(Flatshare)를 구하려고 했는데, 당연하게도 다들 인터뷰를 원했고.... 당연히 내 독어는.... 흠... 이러다간 입학허가가 있지만 비자 신청을 못하게 될 지도 모른다. 그럴 수는 없다, 그래서는 안된다. 


마부르크 대학 기숙사에 대한 온갖 글을 다 검색해서 읽기 시작했다. 작은 도시이고 아직 한국인이 그렇게 막 많지는 않은 도시라 한국인들이 쓴 글은 많지 않았다. 그나마 한국인이 마부르크에 대해 쓴 글은 90% 이상이 교환학생이다. 교환학생은 학교에서 그들을 위해 따로 기숙사를 어느정도 확보해둔다. 그 서비스?에 선정이 안되서 방을 급하게 구하는 교환학생들 글을 페북에서 보는데 걍 내가 다 안타깝고... 뭐 그렇다. 방을 구하기가 살벌하게 어려우니까. 무튼,


입학허가서를 받은게 725일, 그리고 처음 마부르크에 오게 된 게 8월 초였다. 처음 학생 기숙사 사무실에 도착한 날은 간발의 차로 문을 닫아있었다. 무슨 근무시간이 이 지경인지... 그 어떤 사무실이 정오에 문을 닫는게 가능한가, 독일에서는 가능하다. 무튼 그렇게 첫 날은 그냥 도시 구경만 했다. 걍 작은 도시네- 기숙사에서 살게 되면 좋을텐데.. 라고 생각하면서. 그리고는 페북 그룹에 올라온 글을 보았다. 기숙사에 살고 있는데 새 거주자를 구한다고. 이걸 왜 그 사람이 올렸는지는 모르겠지만 빠르게 페메를 보냈다. 내일 기숙사 사무실에 가서 @@기숙사 ###호에 살고 싶다고 말하면 된다고 했다. 그렇게 그 사람과 페메를 했을 때가 오후 4시, 그 사람이 그걸 그렇게 많은 사람들에게 보냈을거라고는 생각 안하고 나는 다음날 오전이 되길 기다렸다. 오전이 되고 떨리는 마음으로 전화를 했는데, 이미 그 방은 다른 사람이 계약했다고 한다. 황당... 대체 몇 명한테 얘기했니...? 근데 같은 기숙사 건물에 방이 하나 더 있다고 했다. 내가 직접 가서 계약해야한다고도 했다. 알겠다고 간다고 얘기한 후에 이메일을 하나 받았다. 학생 등록증이 필요하다고. 음, 못받았는뎀... 학교에 연락하니 닷새 정도 걸린다고 한다. 여보세요... 그게 뭐라고 그렇게 오래 걸리는 건가요....? 무튼 기숙사 사무실에 이런 사정을 적어서 메일을 보냈다. 다음주 화요일에 학생 등록증 들고 바로 사무실로 갈께요. 괜찮다고 해주세요. 이렇게. 그랬더니 답이 없었다. 만약 거절이라면 거절의 답이 왔을거라고 생각하고 나는 다음 주 화요일에 다시 마부르크로 갔다. 다들 막 몇 달 씩 기다린다는데 보름 기다리고(사실상 보름 기다린 것도 아니지만) 기숙사 방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내 방에는 큰 문제가 있다. 엘리베이터가 없는 5층짜리 건물의 5층이라는 점이고, 또 하나는 화장실 바로 앞 방이라는 것이다. 두 가지는 살면서 다소 큰 문제가 되지만, 그래도 어떻게든 기숙사에 들어오게 되었고, 비자를 새로 받을 수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감사한 일이다. 


새 도시에 오게 된 지 벌써 7개월이 지났지만, 아직 비자가 완전히 발급되지는 않은 상태다. 마부르크 외국인청은 이미 악명 높지만, 내가 직접 비자 업무를 해보니 왜 악명 높은지 아주 잘 알 수 있었다. 아직 내 손에 비자가 나온건 아니지만, 보름 안으로 비자 나왔다는 편지가 온다고 하니 그걸 기다린 후에 "새로운 도시, 이미 반 년 (3)"을 써볼까 한다. 



마부르크에 살면 살 수록 만하임이 참 좋은 도시였고, 이전에 살던 내 방이 얼마나 좋은 방이었는지 새삼 깨닫게 된다. 엘리베이터도 당연히 있었고, 해도 잘 들었고, 시끄럽지도 않았고, 계획도시라 산 같은건 시내에 없었었다. 여기는 엘리베이터는 당연히 없고, 해는 거의 안들고, 바로 옆이 차가 꽤 많이 다니는 차도이다. 도시 곳곳에 작은 동산이 있고. 내가 사는 기숙사는 그 동산 중 하나의 중턱;에 위치한다. 매일 조금씩 운동하는 기분으로 산 중턱 + 5층계단을 잘 오르내리고 있다.


독일에서 살면서 짜증나는 부분은 참 다양한 부분이 있다. 그 중 가장 큰 부분이 바로 각종 문서작업 없이는 진행되지 않는 많은 것들이다.... 예를 들면, 외국인청에 비자를 신청하러 가야하는데, 비자 신청하는 날짜의 약속을 잡기 위해 문열기 전의 새벽부터 줄서서 기다려야한다... 비자 신청일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날짜를 잡기 위해 줄서서 기다리는... 직접 방문해서 줄을 서고 면대면으로 담당자를 만나면서 예약 날짜를 잡는다. 그리고 예약된 시간과 날짜가 적힌 종이를 받는다. 인터넷으로 할 수 있으면 참 간단할텐데^^... 라는 생각을 할 때마다 이 아날로그적인 나라에 대체 내가 뭘 바라나 싶고...


무튼 거주적으로 짜증나는 부분 말고, 학생으로서 힘들고 짜증나는 부분은 당연하게도 돈과 관련된 것이다. 일을 하지 않고도 살아는 갈 수 있는 최저생계비용을 갖고 있어야 학생비자를 신청할 수 있다. 가끔 자비로운 도시들에서는 이 재정에 관한 증명을 다양한 방법(그냥 잔고에 1년치 금액인 8640유로 넣어두기, 부모님 소득증명서로 재정보증 등)을 받아주지만, 내가 살게된 이 악명높은 도시에서는 무조건 슈페어콘토를 만들어야한다.


슈페어콘토란? Sperrkonto, 영어로는 blocked account. 돈을 1년치든 2년치든 아무튼 넣어두고, 그 후 매달 정해진 금액만 뺄 수 있는 특수계좌이다. 외국 국적의 학생들이 독일에서 사용하게 되는 슈페어콘토는 월 지출 금액이 720유로로 정해져있다. (도시마다 다를 수 있는데, 대부분의 도시에서 720유로로 정해두었다.)  이 금액으로 살아야한다는 얘기는, 저 금액으로 내가 하는 모든 지출을 다 해야한다는 얘기이다. 기숙사비 학원비 보험 핸드폰 등 모든 것을 다 저 금액으로 살아야한다.......... 720유로, 한화로 약 90만원. 물론 적은 돈은 아니다. 학원비가 들지 않았다면 적당히 살 만 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나는 학원비를 한 과정당 495유로씩 내야한다......... 다행히 학원은 한 과정에 6주과정이라 이래저래 겨우 살아갈 수는 있다.


고정지출

마부르크 대학 기숙사 220유로 / 보험 35유로 / 핸드폰 9.99유로

월 고정지출 총 265유로.

학원비 6주 한 과정이 495유로니까 4주로 계산하면 330유로인 셈.

이렇게 595유로가 월 고정지출이다. 나는 앞으로 한 달 125유로로 살아야한다.

슈페어콘토를 올해 1월에 만들었고, 1월에 이전에 살던 집의 보증금이 들어와서 2월까지는 엄청 빠듯하진 않았었다. 그리고 3월 24일 오늘, 나는 개그지....ㅠ 세상 이런 그지가 따로 없다. 그래도 기숙사에 살고 있고, 보험도 사보험이라 어느정도는 괜찮다고 생각하면서 살 수 있다. 만약 내가 기숙사가 아닌 원룸에서 산다면? 공보험을 내야한다면? 도시에 따라 방값은 차이가 있겠지만, 그 두 개로 이미 6~700유로 순삭..


무튼, 한 달 720유로로 살아간다는건 참 힘든 일이다. 다시 가계부를 쓰기 시작한 이유이기도 하다. 이번달 말일 즈음에는 3월 가계부를 공개해볼 예정이다. 그게 어떤 것이든 어떤 계획이 미래에 있다는 것은 조금은 좋은 것 같다. 항상 무계획자로 살아왔는데 요즘은 종종 내일 뭐할지 이번 달에는 뭐할지 다음 달에는 뭐할지 생각해보는게 즐겁기도 하다. 물론 항상은 아니다. 계획한대로 되는건 많지 않기 때문에.




아니 정확히는 7개월이나 됐다.



7개월 전의 나는 쫓기듯이 이사를 했었다.

내가 가진 비자 기간 내에 독일어 시험에 통과할 수 없다는건 너무 당연했고,

남은 돈도 없었다. 또 돈을 보내달라고 하기엔 나는 염치있는 사람이었다.

말하자면 길지만 뭔가 다 잘 안되고 있었다.

나는 이제 한국 돌아가면 아무것도 다시 할 수 없는데, 여기서도 그렇게 되버리니 내 자신이 너무 한심했었다.



비자기간이 얼마 남지 않아서 새로운 비자를 신청하러 가는 약속을 잡아두었었는데, 나는 받은 대학 합격증서도 없고 뭣도 없어서 어학원 등록증이라도 내야 3개월짜리 임시비자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었다. 나는 여전히 만하임을 좋아하지만, 그 때의 나는 더 이상 만하임에 정도 없었고, 어디론가 떠나고 싶은데 떠날 곳은 없는 상황이었었다. 그렇게 정이 남지 않은 도시에서, 임시비자를 위해 학원을 등록해야한다니 너무 싫었었다.


그 당시의 내가 등록할 수 있는 학원은 애초에 몇 개 안됐었는데,


1. 이전에 다녔었던 한국인이 많은 그 학원 - 비자 신청때문에 한 달 등록하고 싶다고 메일 보내니, 너는 이미 독일에 꽤 오래 살았는데, 합법적으로 더 살 수 있니? 이따위 답메일이 왔다. 하, 역시 괜히 연락했어. 돈만 밝히는.... 어휴. 처음 만하임으로 결정하고는 독어도 영어도 할 수 없었던 나는 거기서 운영하는 WG에 살았었다. 그런데, 세상에 나중에 그 집 전체 월세 가격 듣고 황당해서 말도 안나왔다. 나는 500유로를 냈고, 옆방의 커플은 둘이 합쳐서 900유로를 냈고, 그 옆방의 여자도 500유로를 냈는데, 그 집 전체 월세는 1100유로(현재), 2년 전에는 그보다 조금 저렴했겠지... + 전기세도 별도!! 뭣도 모르고 집도 구해주고 고맙다고 생각했는데, 고맙기는 개뿔... 멍청하면 이렇게 독일까지 나와서 호구가 된다. 인터넷 요금을 네 명한테 각각 15유로씩 뜯어가기도 했다. 당연히 500유로 월세에 미포함. 네 명씩 15유로면 이미 60유로고 대부분의 독일 인터넷은 월 30~35유로면 가능하다. 참 군데군데 많이도 남겨먹는구나 싶었다.

2한국의 평생교육원 같은 개념의 학원 ; 이 곳은 웬만하면 가고 싶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난민들의 정부지원코스가 있기 때문이다. 같은 반인데 난민들은 공짜로 다니고 나는 거금을 내고 다니고... 나는 왜 돈 내!! 이런 말이 아니다. 난민들은 대학을 위한 독일어가 아니라 최소한의 생존을 위한 독일어라 최소한의 언어 능력만 필요하니까 공부를 하지 않는다. 선생님은 매일 똑같은걸 설명해야하니 배우는게 많을 수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밖에 등록할 학원이 없어서 등록하려 했는데, 두 달 코스의 두번째 달에 등록하는건 불가능하다고 했다. 내 비자 테어민이 725일이고, 학원들을 찾아돌아다닌건 그 한 주 전인데, 내가 등록할 수 있는 VHS 독일어 수업은 10월에 시작하는거라고 한다. 저랑 지금 장난하세요?


됐다. 나에게 임시비자를 주지 않는다면, 나는 뭐 또 발등에 불 떨어져서 다른 무언가를 해야하겠지. 설마 당장 출국명령을 내리기야 하겠어... 라는 다소 나이브한 생각으로 전날도 푹 잘 잤다. 하필 비자 테어민도 왜 오전 8시인지, 7시에 일어나서 바삐 준비하다가 이메일을 체크했는데, 입학허가서가 이메일로 도착해있었다.............!!!!!!!!!!! 메일 보낸지는 15분 정도 되었을 때였다. 이 대학교가 조건부 입학허가를 남발;한다는 것은 익히 알려져있었다. 그래서 나도 그 꼼수에 올라타보았다.


외국인청 약속시간(Termin, 테어민)이 8시여서 인쇄할 수 있는 곳을 찾지 못했고, 아이패드에 저장해서 갔다. 이메일을 완전 직전에 받아서 인쇄할 수 없었다는 얘기를 다소 쫄리는 마음으로 해야만 했다. 그런데 쭐라숭(Zulassung, 입학허가서)이 있어서 그런지 너무 빠르고 간단하게 일이 해결되었다. 만하임 대학 아니네. 이사갈꺼지? 그럼 새 도시에서 비자 신청해. 우리는 임시비자 줄께. 그렇게 3개월짜리 임시비자를 빠르게 획득했다. 임시비자의 효력은 외국인청에 방문한 날(725일)부터 시작되어 1025일에 종료된다. 휴, 이렇게 또 3개월을 벌었다. 이제는 새 도시에서 방을 구해야 거주지 전입신고(안멜둥, Anmeldung)를 할 수 있고, 그 도시에 안멜둥된 사람만 비자 업무는 진행할 수 있다. 1025일 전에 새로운 방을 반드시 구해야한다. (운 좋게 빠르게 집을 구할 수 있었던 이야기는 연결해서 계속 쓸 예정)


+ Recent posts